요즘 코로나 바이러스로 마스크가 필수인 생활을 하던 중, 회사에서 받게 된 ATB 기능성 마스크에 대해 조사를 해보았다.
KF80, 94 마스크에 비해 숨쉬기도 편하고 답답하지 않아 착용면에서는 좋은데 바이러스 예방에 기능이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에서 조사해보았다.
1. ATB란? ATB : Anti-Bacterial(세균)으로 항균이라는 의미(균에 저항한다)
2. 항균이란?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
1) 악취 발생 방지
2) 병원내 감염(MRSA) 방지
- MRSA 균의 감염방지
└ 페니실린계역 항생제의 남용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이 내성을 갖게 된 균
(MRSA, Methicillin-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)
3) 항균 평가방법
▶ 시험 가능 항균 : 황색포도상구균, 폐렴균
▶ KS K 0693 : 섬유 재료의 항균시험법
– 시료를 고온고압멸균기(오토클레이브)에서 121도로 멸균처리 후 균을 접종하고
18시간 배양한 뒤 표준면포와 비교하여 정균 감소율 %를 계산하는 시험법
– 결과(단위) : %
▶ AATCC 100 : 섬유 재료의 항균시험법
– KS K 0693과 유사한 시험으로 미국 규격 시험법.
– 결과(단위) : %
▶ KS K 0890 : 섬유재료의 항균시험법 – 평행구획선법
– 직사각형으로 재단한 섬유에 수직이 되도록 균을 배양하고 섬유에 의해 균 성장이 억제되어 생기는 clear zone을 확인하는 시험법. 섬유의 항균력이 강할수록 clear zone이 커진다.
– 결과(단위) : mm
▶ AATCC 147 : 섬유재료의 항균시험법 – 평행구획선법
– KS K 0890과 유사한 시험으로 미국 규격 시험법.
– 결과(단위) : mm
▶ JIS L 1902 : 섬유재료의 항균시험법 – 정량(항균도), 정성(항균성)
– KS K 0693과 유사한 방법으로 시험하며, 시험 후 균 성장도를 CFU 또는 ATP를 사용하여 확인하고, 항균력을
평가하는 시험법.
– 결과(단위) : %
3. 항균 섬유의 종류 및 원리
1) 4급 암모늄 화합물
: 4급 암모늄 화합물은 미생물 세포 표면에 4급 암모늄 화합물이 흡착된 다음 세포벽을 통해 항균 물질이 확산되고 세포질 막이 파괴되면서 K+ 이온과 DNA, RNA와 같은 세포질 구성물이 방출되어 미생물을 불활성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
2) 키토산
3) 금속과 중금속의 양이온 : 구리, 은, 수은, 아연 등
- 구리
A) 박테리아의 구리 이온 흡수
: 체내 필요한 영양소로 인식하여 흡수
B) 세포막 파괴
: 체내 흡수된 구리 이온에 의한 내,외부 전위차 발생
C) 세포 손상 가속화
: 구리 이온이 독성 발생시켜 추가 손상 유발
D) 세포 복제 및 자가 증식 차단, DNA 분해
: 구리 이온의 세포 호흡 및 신진대사 방해
4) 산화제 : 원자 산소 or OH 라디칼 or 할로겐 원자 or 양이온 방출 화합물
3. 세균과 바이러스 비교
- 생물체 여부
세균 : 생물 (세포막, 세포벽, 핵, DNA, RNA 물질로 구성)
바이러스 : 무생물 (단백질과 핵산)
- 크기 차이
세균 : 1~5 ㎛
바이러스 : 200~300nm (0.02~0.03㎛) (세균의 1/50~100)
4. 결론 : ATB 마스크의 바이러스 차단 효과 낮을 것으로 추정(의약외품으로 지정된 마스크를 사용하자)
- 항균이란 균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함
- 또한 균이 발생하더라도 증식 및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추가적인 감염 예방 목적
- KF80, KF94 마스크의 경우 미세한 입자를 걸려줌으로써 바이러스 감염 방지
: ‘KF80’은 평균 0.6㎛ 크기의 미세입자를 80% 이상 걸러낼 수 있으며
‘KF94’, ‘KF99’는 평균 0.4㎛ 크기의 미세입자를 각각 94%, 99% 이상 걸러낼 수 있음.
- ATB 마스크 미세한 입자를 걸러주지 못할 것으로 추정 (판매하는 마스크에 미표시)
- 항균 소재로 만들어진 마스크라고 하더라도 균이 발생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야 효과 발생
-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나 감염자가 내뱉은 바이러스를 ATB 마스크가 충분히 걸러주지 못할 것으로 판단
(세균에 비해 바이러스의 크기가 매우 작음)
- 위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으로 걱정되는 사람들은 의약외품으로 지정된 마스크를 사용하자
개인적인 조사 및 생각 정리 끝.
(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오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.)
<참고>
1. 항균 기능성 소재의 개발동향, 한국섬유개발연구원, http://www.textopia.or.kr/new/upload3_dyetec/texbasetech/texbasetech000000000125_1.pdf
2. 항균시험 평가방법, 한국분석시험연구원, katr.re.kr/항균시험-안내/
3. 항균제와 항균섬유 기술개발 동향, 한국섬유개발연구원, http://super.textopia.or.kr:8888/newsletter/vol92/it_92_02_01.pdf
4. 양이온계 항균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, https://patents.google.com/patent/WO2013094927A4
: 4급 암모늄의 항균 작용 참고
5. 구리 이온의 항균 작용, http://www.scienceonthenet.eu/content/article/marc-solioz/copper-kills-bacteria-end-hospital-acquired-infections/april-2011
6. 세균와 바이러스 차이점, https://www.hihealth.co.kr/checkupinfo/?idx=3614426&bmode=view
'궁금한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다이어트] 교촌치킨 허니콤보 가식부 무게, 영양소 정리 (1) | 2020.08.30 |
---|